2025-07-10 15:14:55
가상현실을 통한 인지행동치료가 정신질환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가 나왔다.
정신 질환 치료에 **가상현실(VR)**이 실제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지속적으로 접목하고자 했던 노력이 성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가상현실은 정신 질환 환자들이 겪는 불안을 해소시키는 기전을 활용하며, 기존 표준치료법에 비해 우월한 치료 결과를 보여주었다.
현지 시각으로 7월 8일, 국제 학술지 심리의학(Psychological Medicine)에는 정신 질환에 대한 가상현실의 치료 효과에 대한 무작위 임상 결과가 공개되었다. 가상현실은 HMD(Head-Mounted Display)와 같은 글래스를 통해 환자에게 프로그램된 가상의 공간을 보여주는 기술로,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정신 질환 환자들에게 심리 안정을 제공하는 치료에 활용하기 위한 여러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대표적인 시도가 **인지행동치료(CBT)**에 가상현실을 접목하는 것이다. 인지행동치료는 최근 애플리케이션 등 소프트웨어로 많이 대체되고 있다는 점에서, 가상현실을 여기에 접목하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네덜란드 그로닝겐 의과대학 윔 벨링(Wim Veling)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은 가상현실에 인지행동치료를 접목한 치료법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검증에 착수했다. 연구진은 9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절반은 편집증에 대해 표준치료법인 인지행동치료를 제공하고, 나머지 절반은 가상현실을 활용한 인지행동치료를 제공한 뒤 그 결과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두 그룹 모두 일정 부분 편집증 증상이 완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특히 가상현실을 이용한 인지행동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표준치료법만 받은 환자에 비해 평균 15% 이상 증상 개선 폭이 더 컸다. 이러한 효과는 약 6개월 동안의 추적 조사에서도 꾸준하게 유지되었으며, 특히 가상현실을 활용한 환자들은 불안에 대해 더욱 큰 효과를 보였다.
윔 벨링 교수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인지행동치료는 극심한 의심과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며, "그 외 요인을 모두 고려해도 현재의 표준치료법에 비해 더 좋은 효과를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벨링 교수는 향후 이 가상현실 기술에 인공지능(AI)을 결합하여 더욱 환자에게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가상현실을 통한 치료는 정신과 전문의나 심리학자 등이 지속적으로 환자 곁에 있을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의료 대기 시간 감소 등 환자 접근성 향상에도 효과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가상현실이 정신 질환 치료의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음을 보여주며, 앞으로 정신 건강 분야에서 VR 기술의 활용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당사의 허락 없이 본 글과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